PC 구성 방법 처음부터 끝까지
PC 구성에 필요한 부품
- 메인보드
- CPU
- 메모리(RAM)
- 스토리지
- 그래픽 카드
- 파워 서플라이
- 케이스
PC 구성 단계
- 부품 선택하기
- 부품 조립하기
- 소프트웨어 설치
- 드라이버 및 업데이트 설치
- 최적화 및 오버클럭
컴퓨터를 좋아하고 나만의 PC를 만들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까? 이 포스트에서는 PC를 구성하는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그럼 시작해보지요!
PC 구성에 필요한 부품
먼저, PC에 필요한 부품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메인보드(Mainboard)
마더보드라고도 하는 메인보드는 PC의 핵심 부품으로 모든 부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CPU 소켓, 메모리 슬롯, 확장 슬롯 등을 갖추고 있으며, 다른 부품과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랜(LAN) 기능이나 WIFI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제품 사양은 가격이 더 비쌉니다. 메인보드도 칩셋에 따라 차이가 나며 가격이 비쌀 수록 상급 칩셋이 탑재됩니다.
CPU
CPU는 컴퓨터의 두뇌라고 할 수 있는 부품으로 모든 처리를 담당합니다. 인텔, AMD 등의 제조사에서 다양한 성능의 CPU가 판매되고 있다. 메인보드는 CPU의 칩셋에 맞춰서 제작되므로 CPU와 메인보드의 조합이 가능한지 주문전에 판매업체에게 문의합니다.
메모리(RAM)
메모리(RAM - Read Only Memory)은 PC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메모리 용량이 많을수록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DDR 규격이 메인보드에 적합한지 주문전에 부품업체에게 확인하도록 합니다.
스토리지(Storage)
스토리지는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장소로, HDD, SSD 등 용량과 속도에 따라 종류의 차이가 있습니다. 요즘은 속도가 빠른 SSD가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NVMe SSD > SATA SSD > SATA HDD 순으로 속도가 빠르고 단위 당 비용도 비쌉니다. NVMe SSD의 경우 메인보드에 NVM Express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주문합니다.
그래픽 카드(Graphics Card)
그래픽 카드는 이미지와 동영상 표시를 담당합니다. 게임이나 동영상 편집 등 높은 그래픽 성능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한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Nvidia 사의 Rtx 시리즈는 성능이 좋지만 공급이 부족해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PC의 용도에 맞는 적절한 사양의 그래픽 카드를 선택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CPU중에는 그래픽 프로세싱을 지원하는 모델도 있으므로 딱히 그래픽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지 않아도 되는 PC라면 CPU내장 그래픽 프로세스도 하나의 옵션입니다.
모니터(Monitor)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전원 공급 장치는 PC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력 소비량에 맞는 용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량 RTX 시리즈의 강력한 그래픽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경우는 와트수(W)가 더 큰 파워서플라이가 필요합니다. PC의 파워는 평균수명이 4-5년가량 되는 소모품이니 적당한 제품을 고르는게 좋습니다.
케이스(Case)
케이스는 모든 부품을 담는 상자 역할을 합니다. 디자인, 크기, 냉각 성능 등 취향과 용도에 따라 선택합니다. PC내부에 많은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사이즈가 어느정도 되는 케이스(미들타워 이상)가 필요합니다. 보통의 PC스펙이라면 많은 경우 디자인의 취향에 따라 결정됩니다만, 기능성도 어느정도 염두할 필요가 있습니다. CPU출력이 높아서 고성능 쿨러가 필요할 때는 공간이 많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C 구성 절차
PC에 필요한 부품이 준비되었다면 다음 단계에 따라 PC를 구성해 봅시다.
부품 선택하기
자신의 용도와 예산에 맞는 부품을 선택한다. 성능과 호환성을 고려해 최적의 조합을 찾습니다.
부품 조립하기
선택한 부품을 케이스에 조립합니다. 정전기에 주의하면서 설명서에 따라 올바르게 설치하세요.
소프트웨어 설치하기
OS(Windows, 리눅스 등)를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고, OS 설정과 계정을 생성합니다.
드라이버 및 업데이트 설치하기
최신 드라이버와 보안 업데이트를 설치하여 PC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세요.
최적화 및 오버클럭
PC 설정을 최적화하고 필요에 따라 오버클럭을 통해 성능을 끌어올립니다. 단, 오버클럭은 위험할 수 있으므로 PC사양에 대해 전문적으로 조사하여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오버클럭은 하드웨어 전문가 커뮤니티의 테스트한 데이터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와 팁
이상으로 PC 구성 방법 처음부터 끝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부품이 많기 때문에 각 부품의 설명서를 차근히 읽은 다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좀 고생스러운 일이지만 나만의 PC를 만들면 자신의 필요에 딱 맞는 PC를 만들 수 있고 나중에 업그레이드나 부품 변경 시에도 직접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주의할 점은 PC는 고가의 부품이 들어가고 민감한 전기 제품이므로 초보자라면 경험이 있는 사람의 도움을 받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몇번의 경험이 있는 숙련자라도 도구를 다루거나 할 때 조심해서 설치하도록 합니다. 요즘 나오는 PC의 부품은 설치하기 어렵지는 않지만 여전히 전자 제품이므로 사소한 실수가 부품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고(PC부품은 비싸다!) 드라이버 등 도구를 다룰 때 다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PC회사에서는 유료로 조립서비스와 AS를 제공합니다. 그런데 이 포스트는 PC 스스로 구성하고 설치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가이드이므로 직접 만드는 것을 권장하구요. 사실 직접 PC를 조립하면 쌀 것 같지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조금 만지다 보면 금방 집에 PC가 여러개 쌓여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싸게 조립하려고 하면 수십만원의 저렴한 가격에도 PC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업그레이드 하고 남은 제품들로 또 다시 PC를 만들어 버리니까요;;; 그러면 케이스나 파워라던가 필요한 부품을 따로 주문하니까 돈이 더 들어갑니다.
다나와 같은 PC사이트를 뒤지다 보면 1만원 이하의 중고 CPU도 구할 수 있습니다. 혹은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다양한 파츠를 구매해서 시스템을 구성하기도 합니다. (실패율은 감안해야 함) 이렇게 PC조립에 빠지면 그게 돈이 더 들어가는 일이 될 수 있으나 취미로 하는 사람들도 있으니까요.
자주 묻는 질문(FAQ)
나만의 PC를 만들려면 어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한가요?
- 예산은 용도와 성능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고성능 PC를 목표로 한다면 비쌀 것이고 보급형 PC는 더 저렴합니다. PC의 부품에는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PC의 목적을 생각해서 적절한 사양을 먼저 세팅하고 거기서 가장 저렴한 옵션을 찾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부품 선택에 실패하지 않는 비결이 있나요?
- 우선 자신의 용도를 명확히 하고 그에 맞는 성능의 부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부품 간 호환성을 확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조사와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정전기 대책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정전기 방지용 손목 스트랩을 사용하는 것은 하나의 정전기 방지 대책입니다. PC를 조립하거나 분해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합니다. 전원을 연결한 상태에서 하드웨어에 손을 대는 것은 첫번째는 위험하고 (PC 내부 전압은 그렇게 까지 높지 않지만) 두번째 이유로는 잘못하면 비싼 부품들이 고장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 유상 AS기 때문에 금전적 손해가 발생합니다.
초보자에게도 커스컴 PC를 추천할 수 있나요?
- 네, 초보자도 자작PC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 많은 정보와 튜토리얼이 있으니 이를 참고하여 작업을 진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설명서를 잘 읽어보고 막히는 부분에서는 막 진행하지 말고 부품 제조사에 문의하거나 인터넷 커뮤니티에 질문을 하면 많은 고수들이 답변을 잘 해줍니다. 또는 이미 비슷한 경험을 한 사용자들이 남긴 기록이 있을 수 있으니 구글 등 검색엔진에서 찾아봅니다.
OS는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요?
일반적으로 윈도우가 가장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때문에 호환성을 중시한다면 윈도우를 추천합니다. macOS는 애플제품이 호환이 아니면 설치가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리눅스는 무료이고 윈도우의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만, 서버용으로 주로 사용되서 환경이 다르므로 리눅스 사용법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OS 무엇보다 용도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T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O를 위한 가이드: 웹사이트의 가시성을 높이고 트래픽 유도하기 (0) | 2023.03.27 |
---|---|
블로그란 무엇인가? 사람들이 블로그 읽는 이유 (0) | 2023.03.23 |
서빙 로봇이란? 서빙의 미래는? (0) | 2023.03.20 |
YouTube란? 유튜브가 인기 있는 이유 (0) | 2023.03.20 |
빅데이터란 무엇인가? (Big Data) 빅데이터는 왜 중요한가? (0) | 2023.03.20 |
댓글